전체 글(124)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 관련 기관 정보)
4) 관련 기관 정보 HS CODE 조회 시 도움이 되는 사이트 HS오토팬 https://www.hs-tariff.com/ 트레드링스 https://www.tradlinx.com/hscode 국번없이 1381 인증표준 정보센터 -> 인증 관련 문의를 하시면 됩니다. 해당되는 품목 담당자 연결하여 무슨 인증이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입식품정보마루 해외 제조업소 등록 확인 https://impfood.mfds.go.kr/ KOTITI KC안전인증,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유아용섬유, 완구, 전기전자RoHS, 라돈, 마스크, 화장품, 의약외품, 잔류농약, 수질식품, 축산, 위생용품, 생활화학제품, 국가공인시험기관 http://www.kotiti-global.c..
2023.07.31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식물 검역, 어린이제품 KC인증, 화학 화공 인증)
3) 인증 관련 (식물 검역, 어린이제품 KC인증, 화학 화공 인증) 식물 검역 식물이나 목재로 만든 인테리어 소품이나 라탄, 빗자루 등 검역이 상당히 까다로워진 검역입니다. 뿐만 아니라 신청도 복잡하고 어렵기도 합니다. B/L, C/I, P/L 수입검역 대상 식물 명세서 (품명, 중량, 필수기재사항) 수입허가 증명서, 수출국 식물 검역 증명서, 위생증명서 가공품의 경우 성분표, 제조 공정 등 서류가 필요합니다. 해당 수출국과 농산물이 수입 불가능할 수도 있기에 수입 전 사전에 수입가능식물을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식물 검역은 외래병해충이 있는지 혹은 딸려오지는 않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검역 대상이면 제품 보관 ,이동 비용..
2023.07.28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수입 물품 인증 전기, 전자 제품)
3) 인증 관련 (전기 전자) 전기전자제품인증은 크게 두가지로 나눠져 있습니다. 전파 인증과 전기 인증입니다. 전파인증은 모든 전기전자제품이 다 받아야 하는 인증이고 전기 인증은 받아야 하는 상품이 있고, 안 받아도 되는 상품이 있습니다. 직류 42볼트, 교류 30볼트 이하 이런 기준이 있는데 이것도 상품마다 다르니 예외사항이 있기 때문에 관련 부처에 확인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KC 전기인증 예외 상품은 계속해서 바뀌기 마련입니다. 어떤건 상품군에서 빠지고, 어떤건 추가되고, 어떤건 전기를 받기 때문에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이나 KTC(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검사 대행기관에 문의해서 최근 정보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청소용품이나 온열상품 같은..
2023.07.26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수입 물품 인증 식품, 식기구 식검)
3) 인증 관련 (식검) 해외에서 물품을 수입해올 때 물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들면 식품, 생활화학, 화장품, 의약외품 전자제품,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 등이 있습니다. 제품을 들여올 때 개인이 사용하는 용도가 아니라면 그냥 다 인증을 다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인증 규정은 자주 개정되고 그 소식 또한 공문으로 공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관세사나 인증 대행업체도 자신이 주로 하는 분야가 아니면 잘 모를 수 있습니다. 그 전에 해외 시품을 팔기 위해서는 수입자, 수출자(제조) 모두 자격이 필요합니다. 수입자는 수입식품판매업(식약처)을 위해 위생교육을 이수하고 신청합니다. 수출자는 해외 제조업소 등록 해야 합니다. ..
2023.07.24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수입통관)
2) 수입통관 매매계역 체결 이후 제품을 국내로 들여오는 것을 수입이라고 합니다. 수입하는 물품을 수입 신고 하고 세관에 수리를 받는 것이 수입통관입니다. 수입통관 절차를 알아보기 앞서, 더 중요한 것을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관세 및 부가가치세 등 내국세 까지 납부해야 정상적으로 수입이 완료됐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과세라고 하고 과세를 위해서는 총 4가지가 확정되어야 합니다. HS CODE, 과세 물품의 확정, 과세 가격의 확정, 납세 의무자 이때 중요한 것은 HS CODE(품목분류)인데 정확하게 품목분류를 하지 않으면 나중에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수입하는 제품은 HS CODE를 확인해서 품목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HS CODE를..
2023.07.21 -
개인 온라인 셀러들을 위한 수·출입의 모든 것(feat.무역용어)
안녕하세요. 창파신입니다. 시장분석전문기관 트랜스포트인텔리전스(TI)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전자상거래 물류시장 규모는 600조 가량이며, 25~6년까지 하여 1,000조 규모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이 이렇게나 큽니다. 혹시라도 국내에서만 판매해야지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다면 고집하지 마시고 활동 범위를 글로벌하게 확대시키시길 바랍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수입 수출을 선뜻 시도하지 못 하는 이유는 이런 이유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용어는 어렵고, 서류는 많고, 절차는 길고, 이것 저것 비용 많이 들고.. 이렇다보니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해외 수출입 업무는 관세사, 포워딩, 배대지를 껴..
2023.07.20